이 글은 지속적으로 화염감지기가 오염 되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는 글입니다.
(보통은 화염감지기를 닦아내면 오류가 없어지지만 자주뜨는 분들께 유용)
제가 기름 보일러 에러코드 12번이 수시로 떠서 화염감지기를 지속적으로 청소를 했지만
매번 오염이 되어서 해본 것 들입니다.
1. 고압트랜스 인터넷 주문 후 교체 >>> 실패
2. 내구성 있는 소재로 연통 전부 교체 후 내열실리콘 작업 >>> 실패
3. 연료인젝터 부분만 분리하여 청소 >>> 실패
4. 급기팬 공기량 3에서 4로 조절 후 연통 연기 확인 >>> 실패(원래 값 변경)
5. 온수코일 빼고 연료인젝터 급기팬 화염감지기 주변 부를 통째로 다 청소(안에 검은 그을음이 많이 나옴) 그리고 온수 코일 안쪽 부분 진공청소기와 블로워 활용 이물질 제거 >>> 실패
6. 그동안 간과 했던 오일필터 분리 청소 >>> 실패
7. 급기팬 콘덴서 교체, 점화봉 청소 및 간격 조정(1회 점화 될 때까지 계속 탈거 후 조립) >>> 성공
● 12번코드의 원인은 일단 가끔가다 불완전연소(3번 불착화 후 착화)로 CDS화염감지기에 그을음이 지속적으로 생기는 것이 원인으로 생각 되어지는데 문제는 이 가끔 생기는 불착화로 보일러 내부가 지속적인 오염이 생기는 것 같네요.
● 최종 추정원인은 연료분사뭉치 오염 및 점화봉 간격 , 급기팬 콘덴서 불량
>>> 점화봉 간격을 4~5mm 조절하고, 연료분사구와의 간격도 분사날개부분과 적당히 이격시키면서 조절 해주었습니다.(급기팬 콘덴서 교체완료)
제가 콘덴서 교체 후 올린 동영상을 보시면 처음부터 급기팬이 돌아갑니다.
그 전에는 급기팬이 간헐적으로 돌아가다 안돌아가는 현상이 있었는데요.
화염감지기의 인식 오류거나 점화트랜스 문제인 줄 알았는데
가장 큰 문제는 급기팬의 콘덴서가 노후되서 일정순간에 안돌아갔고
급기 없이 연료분사와 점화만 이루어지게 되면서 과도한 유증기가 축적되어
불완전연소 축적(CDS감지기 및 점화봉뭉치 등이 계속 오염) 및 폭음이 들렸었던 것으로 추정되네요.
정상 작동영상올리면서 보일러 수리 실패 및 성공기 마칩니다.^^


ps. 포스팅 올린 시점 3월 9일 이후인 3월16일 현재 보일러 아직까지 정상 작동중입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명 양념돼지왕구이 오래두고 먹는 법 (64) | 2025.03.26 |
---|---|
건설기계 조종사 면허 교육(3톤미만) 신청기 (0) | 2025.03.09 |